2022년까지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가 2023년부터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변경됩니다. 청년 근로자와 기업, 정부가 함께 일정액을 적립해 근로자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하던 틀은 크게 변하지 않으나 예산 삭감 등의 이유로 지원금액과 대상이 대폭 줄어듭니다. 2022년과 어떻게 달라졌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란
앞에서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 포스팅했는데요.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 근로자에게 기업, 정부가 일정 금액을 적립해 만기 시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기업은 우수한 인력의 장기재직을 유도할 수 있고 근로자는 만기 시에 목돈을 수령할 수 있어 중소기업에 다니는 많은 청년들이 가입했습니다.
그런데 2022년 11월에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가 물량 소진으로 조기에 종료되었고, 이에 정부는 2023년부터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라는 이름으로 사업을 개편, 신규 사업으로 전환한다고 합니다. 만기가 정해져 있는 기존 사업의 제도적 보완을 위해 개편했다고 하지만, 아쉽게도 혜택이 많이 줄고 가입이 까다로워졌다고 합니다.
조건, 지원내용 및 세부변경 사항
① 가입대상 : 만 15세 이상 34세 미만으로 동일하나, 신규가입자를 1만 명으로 제한했습니다. 2022년 물량도 조기 소진되었으니 희망하시는 분은 가입을 서두르세요.
② 가입시기 :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청년
▶ 만약 채용후 6개월 이내의 청년 근로자라면 청년내일채움공제를 신청하세요.
2023 청년내일채움공제 조건, 지원내용 및 신청방법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한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도와주는 제도에 청년내일채움공제가 있습니다. 2022년에 비해 조금 변경되었는데, 이 포스팅에서는 2023년 들어 변경된 신청 조건과 신청방법
modumoin.com
③ 소득요건 : 연소득 3,600만원 이하의 근로자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그 이상은 가입할 수 없네요.
④ 지원기업 : 2022년까지는 유흥업종을 제외한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했지만 2023년부터 50인 미만 제조·건설업종의 중소기업만 대상으로 합니다. 지원 사업장의 대상이 대폭 줄었습니다.
⑤ 가입기간 : 5년 -> 3년
⑥ 납입금액 : 청년 근로자, 기업, 정부가 600만원씩 납입해 만기 후에는 1,800만원 + 이자를 수령합니다. 2022년까지 청년이 5년간 720만원을 납부하면 3,000만원 + 이자를 수령하던 것에 비하면 많이 축소된 금액입니다. 납입기간이 짧아지고 기업과 정부의 지원액도 줄어 청년의 실제 월 납입금액이 상승해 부담이 늘었습니다.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신청하기
중도해지 지급사항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는 이직으로 인한 퇴직(40.6%), 권고사직(14.4%) 등의 순으로 해지율이 높다고 합니다. 중도 해지 시 귀책사유에 따라 해지환급금의 환급금액이 다르니 다음 표를 참조하세요.
댓글